본문 바로가기

경제, 부동산 데이터 분석/5. 미시경제

(2)
PROFIT MAXIMIZATION 지난 장에서는 기업이 직면한 기술적 선택지들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기업이 얼마만큼 생산할 것인지, 어떤 생산 방식을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지를 설명하는 모형을 다룹니다. 우리가 사용할 모형은 바로 이윤 극대화(profit maximization) 모형입니다. 즉, 기업은 자신의 이윤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생산 계획을 선택한다는 것입니다. 이번 장에서는 기업이 투입물과 산출물에 대해 주어진(고정된) 가격을 마주하고 있다고 가정합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경제학에서는 개별 생산자가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없고 외부에서 주어진 것으로 받아들이는 시장을 경쟁 시장(competitive market)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이번 장에서는 경쟁 시장에서 투입요소와 산출물의 가격이..
TECHNOLOGY 이 장에서는 기업의 행동에 대해 본격적으로 살펴봅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기업이 처한 제약 조건들을 검토하는 것입니다. 기업이 선택을 할 때는 다양한 제약에 직면합니다. 이러한 제약은 고객, 경쟁자, 그리고 자연으로부터 비롯됩니다. 이 장에서는 그 중에서도 '자연'이 부과하는 제약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자연은 투입물을 이용해 산출물을 만들어내는 데 있어서 가능한 방식이 제한되어 있다는 제약을 부여합니다. 즉, 기술적으로 가능한 선택지에는 한계가 있다는 뜻입니다. 여기서는 경제학자들이 이러한 기술적 제약을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공부하게 됩니다. 소비자 이론을 이해했다면 생산 이론은 훨씬 쉽게 느껴질 것입니다. 동일한 분석 도구가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생산 이론은 소비 이론보다 더 간단한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