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부동산 데이터 분석 (12) 썸네일형 리스트형 PROFIT MAXIMIZATION 지난 장에서는 기업이 직면한 기술적 선택지들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기업이 얼마만큼 생산할 것인지, 어떤 생산 방식을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하는지를 설명하는 모형을 다룹니다. 우리가 사용할 모형은 바로 이윤 극대화(profit maximization) 모형입니다. 즉, 기업은 자신의 이윤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생산 계획을 선택한다는 것입니다. 이번 장에서는 기업이 투입물과 산출물에 대해 주어진(고정된) 가격을 마주하고 있다고 가정합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경제학에서는 개별 생산자가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없고 외부에서 주어진 것으로 받아들이는 시장을 경쟁 시장(competitive market)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이번 장에서는 경쟁 시장에서 투입요소와 산출물의 가격이.. TECHNOLOGY 이 장에서는 기업의 행동에 대해 본격적으로 살펴봅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기업이 처한 제약 조건들을 검토하는 것입니다. 기업이 선택을 할 때는 다양한 제약에 직면합니다. 이러한 제약은 고객, 경쟁자, 그리고 자연으로부터 비롯됩니다. 이 장에서는 그 중에서도 '자연'이 부과하는 제약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자연은 투입물을 이용해 산출물을 만들어내는 데 있어서 가능한 방식이 제한되어 있다는 제약을 부여합니다. 즉, 기술적으로 가능한 선택지에는 한계가 있다는 뜻입니다. 여기서는 경제학자들이 이러한 기술적 제약을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공부하게 됩니다. 소비자 이론을 이해했다면 생산 이론은 훨씬 쉽게 느껴질 것입니다. 동일한 분석 도구가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생산 이론은 소비 이론보다 더 간단한데, .. 데이터 국부론(THE WEALTH OF DATA) "한 사람이 철사를 꺼낸다. 다음 사람은 철사를 세우고, 세 번째 사람은 철사를 자른다. 네 번째 사람은 철사를 뾰족하게 만들고, 다섯째는 머리를 붙인다. 이와 같이 핀을 만드는 방식은 18개의 공정으로 나눌 수 있다. 만일 이 일들을 혼자 다 한다면 하루에 20개의 핀도 만들지 못하지만, 10명이 각자 역할을 나누어하면, 하루에 4,800개 이상의 핀을 만들 수 있다." 경제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아담 스미스(Adam Smith)의 『국부론(The Wealth of Nations)』에 나오는 유명한 핀 공장 이야기입니다. 1776년의 이 이야기는 분업의 힘을 단순하지만 강렬하게 보여줍니다. 역할을 나누고, 효율을 극대화한 덕분에 생산량이 혁명적으로 증가했죠. 이는 핀뿐만이 아니었습니다. 이것은 산업 혁.. 샴의 법칙 # 1. 샴의 법칙과 데이터의 한계 오늘은 '데이터는 항상 옳을까?'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우리가 흔히 믿고 따르는 데이터의 신뢰성, 나아가 데이터를 활용하는 인공지능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데이터와 인공지능이 결합된 현대 사회에서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은 언제나 옳을까요?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우리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제 이야기를 가져왔습니다. 샴의 법칙(Sahm rule)이라고 들어보셨나요? 우리가 집을 사고, 차를 살 때, 또 은행에 예적금을 할 때 중요한 것은 바로 금리입니다. 이러한 금리에 대해, 미국의 금리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세계 경제에 영향을 주는데요. 여러분은 “미국의 금리를 결정하는 곳이 어디인.. [데이터 분석] 코스피 섹터별 수익률 그리기(feat. python plotly) finviz 섹터별 주가 Heatmap을 Python으로 직접 그려봅니다. https://finviz.com/map.ashx S&P 500 Map × Ever heard of Finviz*Elite? Our premium service offers you real-time quotes, advanced visualizations, technical studies, and much more. Become Elite and make informed financial decisions. Find out more --> Upgrade your FINVIZ experience Join thousands o finviz.com 1. 데이터 수집 KRX 한국증권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 데이터 다운로드 http://da.. [데이터 경제] 04 경기침체 선행지표(장단기 금리 역전현상, R의 공포) 오늘은 경기침체의 신호로 인식하는 '미국 국채 금리' 에 대한 알아 데이터 분석을 통해 투자전략을 점검해보겠습니다. 현업 데이터 분석가들이 직접 분석하는 『 데이터 경제 』 에서는 80만 개 이상의 시계열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미국 연방 준비은행(FED, The Federal Reserve)의 세인트루이스 연구소 데이터를 분석하고, 투자 인사이트를 공유드립니다. 지난 첫번째 포스트 [01 전쟁과 인플레이션] 에서 전쟁시 유가는 계속 오른다는 사실을 데이터로 분석했습니다. 우리가 데이터 분석했던 것 처럼, http://naver.me/xwDr0Fa7 3월 23일 현재 배럴당 110.86달러로 다시 고공행진을 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경제] 전쟁과 인플레이션 시점에서 투자전략은? [BY 빅데이터 경제] 최.. [데이터 경제] 03 FED의 금리 인상시기 부동산 투자전략 현업 데이터 분석가들이 직접 분석하는 『 데이터 경제 』에서는 80만 개 이상의 시계열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미국 연방 준비은행(FED, The Federal Reserve) 세인트루이스 연구소 데이터를 분석하고, 투자 인사이트를 공유드립니다. 지난 포스트에서는 스태그플레이션 투자전략에 대한 분석 인사이트를 드렸습니다. http://naver.me/GRfptLVA 3월 16일 미국 연방준비은행(FED)는 드디어 금리 인상을 실시하였습니다. 이제 미국의 기준금리는 0~0.25 포인트에서 0.25~0.50 포인트로 0.25% 인상되었습니다. 지난 시간에 분석한 '악의 고리'에서 과연 우리는 어디까지 와있을까요? 전쟁 → 원유 가격(WTISPLC) → 물가(FPCPITOTLZGUSA) → 기준금리(INTDS.. [데이터 경제]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현업 데이터 분석가들이 직접 분석하는 『 데이터 경제 』 에서는 80만 개 이상의 시계열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미국 연방 준비은행(FED, The Federal Reserve)의 세인트루이스 연구소 데이터를 분석하고, 투자 인사이트를 공유드립니다. 지난 포스트에서는 전쟁과 주식시장에 대한 분석 인사이트를 드렸습니다. http://naver.me/xwDr0Fa7 [데이터 경제] 전쟁과 인플레이션 시점에서 투자전략은? [BY 빅데이터 경제] 최근 국제사회의 가장 큰 이슈가 되고 있는 전쟁 상황 그리고 인플레이션 사실 우리... m.post.naver.com 이어서 오늘은 전쟁에서 반드시 수반되는 물가상승(Inflation)과 경기침체(Stagnation)에 대한 데이터분석입니다. 01 서부 텍사스 중질유 .. 이전 1 2 다음